한국일보 애틀랜타 전자신문

2025년 3월 14일(금) B www.Koreatimes.com 전화 770-622-9600 애틀랜타 The Korea Times www.higoodday.com 철강·알루미늄관세강행…글로벌무역전쟁가열 도널드트럼프대통령이전세계철강, 알루미늄에 예외없는 고율관세를 집행 하며글로벌무역전쟁의신호탄을쏘아 올렸다. 한국도 다른 모든 나라와 함께 관세부과대상에포함됐다. 미국제조업 의경쟁력을높이기위한이같은일방적 조치에주요국들이보복에나서면서통 상마찰격화가예고됐다. 연방정부는지난달 10일트럼프대통 령이 서명한 포고문에 따라 수입하는 모든 철강·알루미늄과 파생 제품에 12 일오전 0시 1분(미동부시간기준)부터 25%관세를부과하기시작했다.이에따 라미국으로수입되는철강·알루미늄과 파생제품약 1,500억달러상당이이번 관세의영향을받게될것이라고로이터 와블룸버그통신등은추산했다. 집권 1기때철강제품에 25%, 알루미 늄제품에10%관세를각각부과했던트 럼프 대통령은 이번에 알루미늄 관세율 도 25%로올렸다. 아울러관세적용대 상을 철강과 알루미늄으로 만든 259개 파생제품으로까지확대하기도했다. 애초 추가 공고 때까지 유예가 발표됐 던범퍼, 차체, 서스펜션등자동차부품 과가전부품, 항공기부품등87개파생 제품에도 철강·알루미늄 함량 가치를 기준으로같은세율의관세가부과됐다. 그동안 각국과의 합의에 따라 적용해 온예외와관세면제는전부없앴다.이에 따라 한국이 2018년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철강에적용받던기존면세쿼터(연 간263만t)는폐기됐다. 관세장벽으로인해US스틸등미국업 체제품들의가격경쟁력이향상되면서 기존한국산제품의수요를미국제품이 일정부분흡수할가능성도있다. 미 상무부 산하 국제무역청(ITA) 통계 에 따르면 지난해 대미 철강 주요 수출 국은 캐나다(71억4,000만달러·23%), 멕시코(35억달러·11%), 브라질(29 억9,000만 달 러·9%), 한 국(29억 달 러·9%),독일(19억달러·6%),일본(17억 4,000만달러·5%) 등의 순이었다. 철강 업계와한국무역협회에따르면작년한 국의전체철강수출액에서미국비중은 약13%수준이다. 알루미늄의경우캐나다가전체미국의 수입 물량 중 과반을 차지하는 가운데, 한국은작년7억8,000만달러(미국의수 입물량중약4%)의대미수출을기록하 며 아랍에미리트(UAE·9억2,000만달 러·약5%)에이어3위에자리했다. 이번철강·알루미늄관세는미국정부 가트럼프2기출범이후미국의모든무 역상대국을 대상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첫사례다. 철강·알루미늄 관세가 발효하자 유럽 연합(EU), 중국, 캐나다, 영국등미국의 주요무역상대국들은반발하며보복을 예고했다. 뉴욕타임스(NYT)는이번조처로해외 철강제품과경쟁해온미국내철강업체 들은반색하지만미국내자동차제조업 체와태양광패널등의제조비용이상승 해미국경제성장세가둔화할것으로내 다봤다.철강과알루미늄을원료로쓰는 제조업체들은관세때문에가격이상승 하면 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 결국 광범위한 제조업계가 피해를 보면서 미 국경제전반에충격이퍼지면서트럼프 대통령의제조업부흥계획이오히려차 질을빚을수있다는얘기다. 철강·알루미늄 관세가 적용되는 파생 제품중자동차부품이다수포함돼있기 에이번관세가자동차소비자가격상승 으로연결되면인플레이션압박을키우 고, 결국 소비자에게 부담이 전가될 수 있다는지적이제기되고있다. <연합> ‘제조업 부흥’ 트럼피즘 파생 제품까지 25% 부과 한국도 무관세쿼터 폐지 경기둔화 등 미국도 불똥

RkJQdWJsaXNoZXIy NjIxM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