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애틀랜타 전자신문

내란·김건희·채 상병 사건을 파헤칠 조은석·민중기·이명현 특별검사(특 검)는 보수 정권을 겨냥한 굵직한 수사 나조사를 지휘한공통점이있다. 특히 12·3 불법계엄 내란 사건을 규명할 조 은석(60·사법연수원 19기) 특검은 직 전까지 감사원장 직무대행(감사위원) 으로서 윤석열 정부와 공개적으로 충 돌하기도 했다. 이들은 앞으로 최장 170일간 윤 전 대통령 부부를 겨냥한 고강도 수사에 돌입하게 된다. 13일 법조계에 따르면, 내란 특검으 로 임명된 조 특검은 전남 장성 출신 으로 광주 광덕고와 고려대 법학과를 졸업한 뒤 27년간 검찰에 몸담은 ‘특 수통’으로분류된다. 평검사시절서울 지검 특수1부에서 최순영 전 신동아그 룹 회장을 구속기소하면서 이름을 알 리기 시작했다. 이후 대검찰청 공적자금비리합동단속 반에서 나라종금 로비 의혹을 수사하 면서 김대중 전 대통령의 아들인 김홍 일 전 의원과 노무현 전 대통령의 최측 근 안희정 전 충남지사를 구 속기소했다. 2009년 서울중앙지검 부장 검사 시절에는 용산참사 수 사를맡았고, 이듬해서울북 부지검 차장검사 땐 전국청 원경찰친목협의회(청목회) 의 청부입법 의혹 수사를 지 휘해 여야 정치인 6명을 재판에 넘겼 다. 조 특검이 보수 정권과 각을 세우 는 모양새로 비춰진 시기는 박근혜 정 부 때다. 2014년 대검 형사부장(검사장)으로 세 월호 참사 당시 해경의 부실구조 혐의 수사를 지휘하는 과정에서 해경 정장 에 대한 업무상과실치사상죄 적용을 주장하다 법무부와 갈등을 빚었다. 조 특검은 이후 청주지검장을 끝으로 수 사부서에서 배제돼 정권에 ‘미운털’ 이 박혔다는 얘기가 나왔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서울고검장으로 승진했다. 당시 서울고검 관할인 서울중앙지검 장이윤전대통령이었다. 조특검은검 찰청을 떠난 뒤 감사원 감사위원으로 재직하면서 윤석열 정부와 자주 충돌 했다. 그는 전현희(현 더불어민주당 의 원) 전 권익위원장에 대한 감사원의 ‘ 표적 감사’ 논란과 관련해 최재해 감 사원장 및 유병호 당시 사무총장과 대 립했다. 최 원장이 국회의 탄핵 소추로 직무가 정지되자 권한대행으로서 ‘부 실 감사’ 비판이제기됐던 대통령실· 관저 이전 감사결과에 대한 재심의를 지시했고, 윤 전 대통령에게 뇌물 의혹 이 있다며 검찰에 수사를 요청하기도 했다. 연수원 14기) 특검은 정통 법관 으로 꼽힌다. 대전고와 서울대 법대를 졸업해 판사 로 임관한 민특검은 진보 성향 판사들 이 주축이 돼 만든 ‘우리법연구회’ 출신으로 김명수 전 대법원장의 최측 근으로 분류됐다. 2017년 ‘사법부 블 랙리스트’ 의혹을 조사한 대법원 추 가조사위원회위원장을맡으면서세간 에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그는 양 승태대법원장시절법원행정처가청와 대 요구를 받고 원세훈 전 국가정보원 장의 항소심 선고 전후 재판부 동향 등 을 파악한 정황을 발견했다는 조사 결 과를 발표했다. 위용성기자·4면에계속 2025년 6월 14일(토) D www.Koreatimes.com 전화 770-622-9600 The Korea Times www.higoodday.com 한국판 보수정권겨눴던경력 ‘3특검’ 임명 내란특검,감사위원때尹정부와충돌 3명모두굵직한수사 · 조직지휘경험 李대통령, 조은석·민중기·이명현지명 ��� ��� ����

RkJQdWJsaXNoZXIy NjIxM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