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애틀랜타 전자신문

중국기업들이미국이부과한고율의 대중국관세를피해상대적으로관세율 이낮은동남아시아를경유해미국으로 수출하는물량이증가하고있다고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6일 보도했다. 이에도널드트럼프행정부는이같은편 법우회수출에대한수사와단속을강 화하고있다. 연방 인구조사국 자료에 따르면 지난 5월중국의대미수출은작년동기대비 43%(150억달러) 감소했다. 중국 공식 통계에따르면같은달중국의전체수 출은4.8%증가했다.아세안(ASEAN· 동남아시아국가연합)과 유럽연합(EU) 에대한수출이각각15%, 12%증가하 면서대미수출감소를상쇄했다. 캐피털 이코노믹스의 아시아 담당 수 석이코노미스트마크윌리엄스는통계 가“정말눈에띄는패턴”을보여줬다고 말했다. 그는“2018년첫번째미중무역전쟁 당시에도 이런 현상이 나타났다. 미국 은중국으로부터의수입이급감했지만, 베트남과 멕시코로부터의 수입은 증가 했다”고했다. 캐피털이코노믹스는지난5월중국산 수출품34억달러어치가베트남을통해 미국에수출된것으로추정했다.이는1 년전보다30%증가한수치다. 인도네시아를통한우회수출도급증 했다. 같은달우회수출추정물량이 8 억달러로, 1년전보다25%증가한것으 로추정됐다. 중국 통계에 따르면 지난 5월 인쇄회 로기판, 전화기 부품,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 등 중국산 전자부품의 베트남 수 출이작년동기대비54%(26억달러)증 가했다. 인도에서는 관세의 영향이 스마트폰 분야에 집중된 것으로 전해졌다. 애플 이 미국에서 판매되는 모든 아이폰의 조립을내년부터인도에서하기로한결 정때문이다. 리서치회사인‘글로벌트레이드리서 치 이니셔티브’의 창립자 아자이 스리 바스타바에따르면지난5월인도의대 미수출이작년동기대비 17%증가한 가운데 중국(홍콩 포함)에서의 수입도 22.4%증가했다. 스리바스타바는“인도의 전자제품과 기계류 수입(대부분 중국산)의 급증과 대미 수출 증가는 글로벌 공급망이 관 세에 빠르게 적응하고 있음을 보여준 다”고말했다. 반면 중국의 EU 수출이 급증했지만, 미국 우회 수출 목적에서 비롯된 것은 아니라는분석이나온다. 올해 1~5월 EU의 중국산 의류, 화학 제품, 기계류 수입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가파르게증가했지만분석가들은 이처럼 급증한 물량이 미국으로 다시 수출되기보다 EU 안에서 소비될 가능 성이더높다고보고있다. 2025년 7월 9일(수) B www.Koreatimes.com 전화 770-622-9600 애틀랜타 The Korea Times www.higoodday.com 중, 타국 통한 우회 수출 ‘극성’ ‘트럼프관세회피’목적 동남아·EU거쳐선적 수사·단속활동강화 중국이 미국이 부과한 높은 관세를 피하기 위해 동남아시아를 통한 편법 우회수출을 늘리 고 있다. [로이터] 현대차그룹은최근 5년간미국고속도 로안전보험협회(IIHS) 충돌안전평가에 서글로벌자동차그룹가운데가장좋은 성적을냈다고4일밝혔다. IIHS는매년미국시장에출시된차량 을종합적으로평가해최고수준의안전 성에‘톱 세이프티 픽 플러스’(TSP+) 등급, 양호한 성적에‘톱 세이프티 픽’ (TSP)등급을부여한다. 현대차그룹은 2021년부터 5년간 총 106개 모델이 TSP와 TSP+ 등급에 선 정되며글로벌자동차그룹최다기록을 작성했다. 현대차그룹은 연도별로 2021년 28개, 2022년 26개, 2023년 15개, 2024년 22 개, 올해는 15개모델이 TSP 이상등급 을획득했다. 올해 TSP 이상 등급을 받은 현대차 그룹 차종은 현대차 7개, 제네시스 5개, 기아 3개 등 총 15개 차종이다. IIHS는 1959년설립된비영리단체로,매년미국 시장에출시된차량의충돌안전성능과 충돌예방성능을종합적으로평가해결 과를발표한다. 아울러 현대차그룹은 올해 기아 EV3 가유럽신차안전성평가프로그램(유로 NCAP)에서‘별다섯’을획득하면서모 든전용전기차가최고등급을획득했다. 현대차그룹관계자는“최근강화된충 돌안전평가에서잇따라최고수준의성 적을 받으며‘안전하고 상품성이 높은 자동차’라는인식이확산해판매가늘어 나고있다”면서“앞으로도안전최우선 철학을바탕으로지속적인연구개발을 통해최고의안전성을갖춘차량을고객 에게제공할것”이라고말했다. 현대차그룹, ‘안전차량’ 최다선정 IIHS충돌안전평가 5년간106개모델

RkJQdWJsaXNoZXIy NjIxM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