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애틀랜타 전자신문

2018년 12월 28일 금요일 | 24 푸드 왜동짓날에는팥죽을먹을까? 보양은흔히‘補陽(보양)’ ‘保養(보양)’으로표기한다. 오늘날 우리는‘양’을더하자는것인지, 보호하고잘보살펴준다는뜻인지 구분하지못하고마구섞어버렸다. 비슷한이야기가아니냐고?그렇지않다. 앞의‘보양(補陽)’은지향점이‘평(平)’, 즉균형이다.양의계절에음을더해주고, 음의계절에양을더해주는것이다. 음양의조화로움을통해끊임없이 ‘평’을향한다. 팥죽은 양의 기운을 더해주는 진정한 보 양식 여름은양의계절이다.음을더해주어야한다. 여름에얼음을찾는이유다. <세종실록>에서도“얼음은 음양의 부조화를 고르게하는데도관계가있다”고했다. 조선시 대에는‘양의여름’과‘음의 얼음’이 조화를 이룬 다고 믿었다. 지나침은 모자람만 못하다. 아무 리더워도얼음이나차가운것을많이섭취하면 탈이난다.음이양의성질을넘어선것이다. ‘보양(保養)’은잘먹이고, 잘재우고, 쉬게하 고, 성장하게만든다. 소화가잘되는고단백질, 고열량의 식품은 지치고 허기진 몸을‘보양’한 다. 오늘날의보양식은이두가지를뒤섞은것이 다.여름철에먹는민어,장어,삼계탕,개고기,자 라등은 모두 두 가지 보양을 뒤섞은 음식들이 다.더운양의계절에또양을더한것이다. 양의음식은무엇이며언제먹는것일까?양의 음식은음이강할때먹어야한다. 음이극대화 된동짓날에양의음식인팥죽을먹는이유다. 동짓날은왜‘음’일까?동지(冬至)는양력12월 22, 23일경이다. 밤의길이가가장길고상대적 으로낮이가장짧을때다.낮은양이고밤은음 이다. 동지는‘겨울이한창일때’라는뜻이다. 겨 울은‘음’이다. 추위도‘음’이다. 밤도‘음’이고 당 연히이모든것을다갖춘동지는음이극대화 된시기다.겨울,추위,밤이모두음이니양이필 요하다. 조선시대기생황진이의시조에“동짓달기나긴 밤의한허리를베어내어”라는부분이있다.동 짓달기나긴밤은긴부분의한허리를베어내 어도될정도로길고길다, 팥은양의성질을지니고있다.양의성질을지 닌팥으로음이극대화된동지를지낸다. 동짓 날죽을쑤어먹는이유다. 우리선조들은팥을‘소두(小豆)’라고불렀다.‘ 작은 콩’이라는 뜻이다. 조선왕조실록에는“하 늘에서우박이내렸는데그모양이나크기가마 치소두같았다”는표현이군데군데나온다. 팥 은색깔이붉다고해서우리선조들은‘적소두 (赤小豆)’라고불렀다. 중국인들은 팥죽을‘훙더우저우(紅豆粥, 홍 두죽)’라고부른다. 붉은콩,즉팥으로끓인죽 이니같은팥죽이다. 홍이나적모두붉은색이 다.우리선조들은‘보양(補陽)음식’인붉은팥죽 마저도절제했다. <조선왕조실록>영조46년(1770년) 10월8일 의기사다.“(전략) 또동짓날의팥죽은비록양 기의회생을위하는뜻이라할지라도이것을문 에다뿌린다는공공씨(共工氏)의설(說)도너무 정도(正道)에 어긋나기 때문에 역시 그만두라 고 명하였는데, 이제 듣자니 내섬시(內贍寺)에 서아직도진배를한다고하니, 이뒤로는문에 팥죽뿌리는일을제거하여,잘못된풍속을바로 잡으려는나의뜻을보이도록하라.” ‘공공씨의이야기’는중국<형초세시기(荊楚 歲時記)>에나오는내용이다. 공공씨는전설속 의인물이지만형초세시기는6세기경에집필된 책으로초나라의풍습을적었다.공공씨에게는 재주없는아들이있었다. 이아들이동짓날에 역질로죽었다.그아들이팥을몹시두려워하여 동짓날에팥죽을쑤어역질귀신을쫓는다. 전 동지 팥죽은 음의 계절에 양을 더해 이야기가 있는맛집 겨울 팥죽

RkJQdWJsaXNoZXIy NjIxMjA=